![[OSSCA] Terraform Provider SDK 와 Framework 버전 차이를 알아보자](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IzKl4%2FbtsIKdh2WfQ%2FMmCFXEG2wRlyE5BlgXPzQk%2Fimg.webp)
이후 Terraform Provider를 Framework로 마이그레이션 하는 도중 어떤 부분이 바뀌어야 하는건지 감이 잘 잡히지 않아 공식문서를 번역하며 두 버전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https://developer.hashicorp.com/terraform/plugin/framework-benefits#interfaces-instead-of-declarative-structs Home - Plugin Development: Plugin Framework Benefits | Terraform | HashiCorp DeveloperCompare the prior SDKv2 and the framework for provider development. The framework is easier a..
![[OSSCA] Terraform Provider 살펴보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xkvMt%2FbtsIJdCcTkI%2FK2kvYDSonkcMJo1sKtvdK1%2Fimg.webp)
4주차부터는 본격적으로 Terraform 프로바이더에 대해 개발을 진행한다. 개발을 진행하기 앞서 우선적으로 Terraform 프로바이더가 어떤 방식으로 동작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본격적인 개발을 착수하도록 하자. 테라폼 프로바이더테라폼은 프로비저닝을 수행하는 도구이다. 즉, 테라폼을 이용하면 코드 기반으로 인프라를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테라폼 자체는 AWS, NCP 등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따라서 특정 클라우드 플랫폼을 테라폼을 통해 사용하려면 해당 플랫폼에 대한 프로바이더(Provider)를 함께 사용해야 한다. 프로바이더는 테라폼이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플러그인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NCP)의 리소스를 테라폼으로 관리하..
![[OSSCA] Terraform으로 NCP 사용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Pxvyi%2FbtsIJsFVG0z%2FbjRFkFbgzkdVTXvTbog6ZK%2Fimg.webp)
3주차에는 기존에 만들었던 NCP 인프라를 Terraform으로 마이그레이션 하는 과정을 수행해 볼 것이다. 실습 아키텍처기존에 실습을 진행했던 아키텍처와 DB를 진행하고 동일하다. 해당 아키텍처에 대해 Terraform으로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해보고자 한다.Terraform 설치하기Terraform by HashiCorp우분투로 사용할 예정이기에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였다.wget -O- | sudo gpg --dearmor -o /usr/share/keyrings/hashicorp-archive-keyring.gpgecho "deb [signed-by=/usr/share/keyrings/hashicorp-archive-keyring.gpg] $(lsb_release -cs) main" | su..
![[OSSCA] NCP를 이용하여 인프라 설정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ouDGZ%2FbtsIGZR0Ubw%2FXFzSyKoa1PDWov3vc7xTGk%2Fimg.webp)
2주차 실습은 NCP 환경에서 제시된 인프라 환경을 설정하는 것이다. 과제 수행 플로우와, 실습 아키텍처에 대해 기록을 남겨보고자 한다.실습 아키텍처 실습 대상 아키텍처이다. 인터넷 게이트웨이가 존재하고, Private Subnet의 경우, NAT Gateway를 거쳐 외부와 통신을 하고 있다. Public Subnet의 경우에는 바로 Internet Gateway와 통신을 하는 구조이며, DB들은 모두 Private Subnet에 위치해 있다. 해당 구조를 만들기 앞서, 각종 용어들에 대해 알아보고 지나가자.용어 알아보기 VPCVPC는 클라우드 내에서 논리적으로 격리된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VPC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IP 주소범위, 서브넷, 라우팅 테이블,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등 네트..